SMALL LANGUAGE40 제5강 형용사와 정 대명사 1. 형용사의 성과 수 남성 여성 중성 복수 경어미 -ый/-ой -ая -ое -ые 연어미 -ий -яя -ее -ие 단수 복수 남성 как-óй 여성 как-áя 중성 как-óе как-ие 경어미 нóв-ый 새로운 дом больш-óй 큰 нóв-ая маши№на больш-áя нóв-ое окнó больш-óе нóв-ые домá больш-и№е 연어미 си№н-ий 푸른색의 си№н-яя си№н-ее си№н-ие ex) Какóй это дом? - Это нóвый дом. ex) Какáя это маши№на? - Это большáя маши№на. 2. 정 대명사 ( 전체, 전부, 모든 ) 단수 복수 남성 여성 중성 весь дом вся семья всё пись.. 2010. 6. 20. 제4강 명사의 복수형 / 소유 ∙ 지시 대명사 1. 명사의 복수형 단수 어미 복수 어미 남 студéнт 대학생 музéй 박물관 словáрь 사전 없음 -й -ь студéнты музéи словáри -ы -и -и 여 газéта 신문 пéсня 노래 тетрáдь 공책 -а -я -ь газéты пéсни тетрáди -ы -и -и 중 письмó 편지 мóре 바다 -о -е письма моря№ -а -я 주의) 정자법 규칙에 따라 г, к, х 및 ж, ш, щ, ч 뒤에서 ы 는 и 가 된다. Кни№га – книги 책들 пиани№стка – пиани№стки 피아니스트들 врач - врачи 의사들 товáрищ – товáрищи 동료들 불규칙 복수형을 갖는 명사 단수 복수 брат 형 друг 친구 дом 집 .. 2010. 6. 20. 제3강 평서문과 의문문 / 인칭대명사와 명사의 성과 수 1. 평서문과 의문문 1) 「A는 B이다.」의 표현 ex) Это Антóн. 이 사람은 안똔입니다. (This is Anton.) 에떠 안똔 2) 「A는 B입니까?」의 표현 (의문사가 문두에 있는 의문문) ex) Кто это?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크또 에떠 ex) Что это? 이것은 무엇입니까? 슈또 에떠 (혀를 꼬아 슈를 발음해준다. 마치 중국 영화의 대사처럼) 3) 「A는 B입니까?」의 표현 (의문사가 문미에 있는 의문문) ex) Он студéнт? 그는 학생입니까? 온 스뚜젠뜨 4) 「그렇다면 ~는?」의 표현 ex) Я пианЙст. 나는 피아니스트 입니다. 야 삐아니스뜨 А вы? 그러면 당신은요? 아 브이 5) 긍정문과 부정문. ex) Он студéнт? 그는 학생입니까? 긍정문.. 2010. 6. 20. 제 2 강 알파벳과 발음 1. 액센트 액센트가 있는 모음 음절을 강하고 길게 읽어준다. ТAта таТA ② 액센트 앞과 뒤의 모음 /о/ 는 /а/ 로 발음한다. Это /эта/ Она /ана/ ③ ё는 액센트를 갖는다. Зовёт /завёт/ ④ 액센트 앞의 모음 е와 я는 /и/ 로 발음한다. Сестра /систра/ Язык /изык/ 2. 자음동화 유성자음 б д г в з ж 무성자음 п т к ф с ш ① 유성자음이 어말에 있을 때 대응되는 무성자음으로 발음된다. клуб /клуп/ , год /гот/ , друг /друк/ иванов /иваноф/ , рассказ /расскас/ , муж /муш/ ② 무성자음 앞의 유성자음은 대응의 무성자음으로 발음된다. сдача /здача/ , а.. 2010. 5. 12. Piece of cake (식은 죽 먹기) Dialogue A: I got awakened out of a nap by someone rapping on my door. B: Was it a salesman? They’re just trying to make a living, you know. A: No, this guy had a survey. *** 설문지 작성해 줬어. 그 정도야 식은 죽 먹기지.*** B: You’re in for it, now. Once they know you play along, they keep coming. 해석 A: 어제 자고 있는데 누가 문 두드리는 소리에 깼어. B: 외판원이었나? 그 사람들도 먹고 살려고 그러는 거지. A: 아니야. 조사원이었어. I filled it out; piece of cake. B:.. 2010. 5. 12. I'll get back to you on that. (나중에 다시 말해줄게) I'll get back to you on that. 나중에 전화로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I'll get back to you"는 전화 통화를 하는 도중 다른 볼일로 인해 전화를 끊으면서 『내가 다시 전화할게요』라고 하는 말로서 "I'll call you back."과 같은뜻이다. A: 그런데 조디, 다음주 토요일에 이사가는데 좀 도와 줄래? B: 음, 어디보자... 어, 동준아, 밖에 누가 왔어. I'll get back to you on that. 안녕. "I'll get back to you." 에 on that 을 덧붙여 "I'll get bad to you on that." 이라고 하면 이미 나눈 대화에 대해 (on that) 좀더 생각해 보거나 알아보고 나서 다시 연락해 주겠다는 말이다. .. 2010. 5. 11. 이전 1 ··· 3 4 5 6 7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