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SEFUL INFORMATION

xp 여러가지 팁

by [Dragon]태리 2010. 4. 17.

 

XP 팁] 방화벽설정/제거방법

▶윈도우 XP는 인터넷 연결방화벽 설정 부분이 있어서 다른 컴퓨터가 내 컴퓨터를 엑세스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구루구루나 P2P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컴퓨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럴경우 방화벽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바탕화면의 네트워크환경의 등록정보를 연다-자신의 네트워큰연결항목을 선택하고
마우스우측버튼을 클릭해서 등록정보를 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고급-인테넷 연결방화벽을 체크하던지 체크아웃한다.

[XP 팁]실행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장치관리자등이나 서비스를 통제하는데 특히 편리하다.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devmgmt.msc : 장치관리자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dfrg.msc : 디스크 조각모음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fsmgmt.msc : 공유폴더
gpedit.msc : 로컬 컴퓨터 정책 lusrmgr.msc : 로컬 사용자 및 그룹
perfmon.msc : 성능모니터뷰 rsop.msc : 정책의 결과와 집합
secpol.msc : 로컬 보안설정 services.msc : 서비스

[XP 팁] 윈도우 시작시 자동로그온방법
regedit-->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항목에서
오른쪽마우스 클릭하여 새문자열값으로 다음값을 등록한다
이름 값
AutoAdminLogon ---> 1
DefaultUserName ---> 유저명(사용하시는 유저명) : 이 항목은 보통 만들어져 있다
DefaultPassword --->패스워드(유저의 패스워드) : 지정없이 사용할때는 값을 공란으로 둔다

[XP 팁] 부팅후 NumberLock설정방법
부팅후 넘버록이 설정되질 않는 경우 Regedit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HKEY_CURRENT_USER\ControlPanel\Keyboard 에서 InitialKeyboardIndicators항목의 키값을 2로 고침

[XP 팁] 실시간 동영상을 끊김없이 감상하기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면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감상할수 있다. 하지만 용량이 큰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상하다 보면
연결이 끊기거나 잠깐 멈췄다가 다시 재생되는 등 여러 가지 접속 에러가 자주 생긴다.
이럴 때는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퍼를 늘리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를 수행하고 [도구]→[옵션] 메뉴를 누른다. `옵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 성능] 탭을 고른다. `내 연결 속도` 옵션을 고르고 목록 버튼을 눌러 `T1(1.5Mbps)`를 선택한다.
` 네트워크 버퍼링` 항목에서는 버퍼를 10초로 지정한다. 다시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UDP` 항목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프록시 설정` 항목에서 HTTP를 마우스로 두 번 누른다. `프로토콜 구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프록시 서버 이용 안함` 옵션을 선택한다.

 

[XP 팁] 내컴퓨터의 [공유문서] 제거방법
컴퓨터에 보면 여러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공유문서가 있다.
공유문서에는 공유그림 공유음악등이 있는데 필요하지 않는 경우 삭제할 수 있다.
1.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MyComputer\NameSpace
\DelegateFolders
2.59031a47-3f72-44a7-89c5-5595fe6b30ee 를 찾아서 삭제한다. (완전히 없어진건 아니고 보이지만 않을뿐이다)

[XP 팁] MSN Explorer제거방법
1. [시작]-[모든 프로그램]를 선택하고 MSN Explorer 아이콘 위에 커서를 갖다 댄다.
2.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후 [속성(R)]을 선택
3. "MSN Explorer 등록정보" 창이 뜨면 아랫부분에 있는 [대상 찾기]를 선택
4. 지금까지의 과정을 밟아 왔다면 MSN Explorer의 폴더로 이동을 해 있을 겁니당. 거기에 폴더가
두 개가 있는데, Setup이란 폴더를 열어 보면 msnunin이란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게 MSN Explorer의
" 제거 프로그램"입니다. 클릭하면 시작 메뉴에 있는 "바로 가기"를 비롯해서 모든 게 제거됩니다.

[XP 팁] 부팅후 및 탐색기실행시 A드라이브 안 읽게 하기
부팅직후나 탐색기를 실행할때 이상하게 A드라이브를 이유없이 읽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 갑자기 이런증상이 나타날때는
이렇게 해보면 된다. 제어판->관리도구->서비스->shell hardware detection항목을 찿아 자동으로 설정->재부팅

[XP 팁] 하드가 이유없이 계속 읽기를 반복할때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데 하드디스크드라이브 표시등이 계속 켜지면서 하드가 작동을 한다면 다음 설정을 해제한다.
제어판->관리도구->서비스->Indexing Service->속성->사용안함


[XP 팁] 종료로고만 나오고 전원안꺼질때
( 조치1)▶제어판(control panel)-전원 옵션(power options)-APM탭-하단의
[Enable Power Management support](최대 절전모드사용)를 체크합니다.APM지원을 체크한다.
( 조치2)CMOS에서 전원관리 부분에 가서 "PM Control by AP" 여기를 YES라고 변경한다.
( 조치3)[시작-제어판-새 하드웨어 추가]를 클릭한다.
[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 ---> [다음]을 눌러 윈도우 XP가 새로 설치된 장치를 찾으면 [하드웨어가 연결되어 있습니까?]하고
물어 보는데 [ 예, 하드웨어를 연결했습니다] 라는 단추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 설치된 하드웨어] ---> [새 하드웨어 장치 추가] 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 원하는 작업을 선택하십시오]라고 나오면 [목록에서 직접 선택한 하드웨어 설치(고급)]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
[ 일반 하드웨어 종류]에서 [ NT APM/레거시 지원 ] 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르고,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계속 따라 하시면 무사히 설치 된다.

[XP 팁] 지워도 보이는 프로그램목록 지우기

프로그램 추가 에서 지우지 않고 그냥 프로그램의 언인스톨러를 제거했을때
프로그램추가 에서 목록이 그대로 남아있을 때가 있다. 그럴때는 지우지도 못하고
어쩔때는 설치가 잘 안될수도 있다. 지금부터 목록 지우는법을 알아보도록하"募?
시작-실행-regedit 입력후 [확인]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Uninstall
에서 프로그램 추가에 있는 목록이 보일것이다. 그중에서 제거할 목록을 선택하고 삭제 하면 된다.

[XP 팁] 베드섹터 검사및 베드섹터 복구하는 방법
내컴퓨터-검사를 원하는 하드디스크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속성-도구로 이동-디스크검사 옵션 항목에서
[불량섹터 검사 및 복구 시도]를 체크하고 시작을 클릭해 주시면됩니다

[XP 팁] DMA 설정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조건
하드디스크와 시디드라이브를 DMA 모드로 설정하는건 기본이다. E-IDE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컨트롤러에는 PIO 모드와
멀티워드 DMA(Direct Memory Access)라는 두가지 전송방식이 있다. 기존의 PIO모드에서는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CPU를
거쳐 드라이브로 전송되지만 DMA모드에서는 데이터가 DMA 채널을 통해 CPU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드라이브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높아지며 CPU 점유율 또한 현저히 낮아진다. 입출력을 위한 인터럽트의 횟수가 줄어 들어 멀티태스킹과
고속작업이 유리하다.
DMA 모드를 이용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Ultra DMA 포함)
1. 메인보드 지원여부 (칩셋과 바이오스에 따라 최대 지원여부가 달라짐)
2. 운영체제 지원여부 (드라이버를 통해 업데이트 가능)
3. 드라이브(저장매체) 지원여부 (하드웨어 자체 최대지원여부는 제품에 따라 다름)
메인보드 바이오스 상에서 DMA 설정을 확인한후 사용하는 메인보드 칩셋에 따라 운영체제용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예를 들어 인텔사의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Intel Application Accelerator 프로그램을, VIA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
보드는 VIA 4-in-1을 사용하셔야 한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LIST

'USEFUL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ift Key의 10가지 기능  (0) 2010.04.17
xp 속도 향상 시키기  (0) 2010.04.17
xp 최적화 (3)  (0) 2010.04.17
xp 최적화 (2)  (0) 2010.04.17
xp 최적화 (1)  (0) 2010.04.17